개신교에는 왜 고해성사가 없나 - 가톨릭교회에서 행하는 고해성사에는 어떤 성서적 근거가 있습니까? - 가톨릭에서는 신부가 신도의 죄를 사해준다는데, 개신교 목사는 왜 그렇게 하지 않습니까? - 가톨릭선 사제에 ‘속죄의 권한’ 계승 인정 개신교는 평신도가 직접 ‘고백→속죄’ 확신 고해성사(告解聖事)란 가톨릭교회의 일곱 가지 성례전(세례, 성찬, 견진, 고백, 신품, 혼인, 종부) 중 하나로서 신도가 범한 죄를 참회할 때 사제가 그리스도의 권한을 대신해서 그 죄를 사해 주는 성사를 말하며, ‘고백성사’라고도 합니다. 고해성사의 성서적 근거는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신 후 제자들에게 나타나셔서 “성령을 받아라. 너희가 누구의 죄든지 용서해 주면 그 죄가 용서될 것이요, 용서해 주지 않으면 그대로 남아 있을 것이다”(요 20:22∼23)고 하신 말씀에 기초하고 있습니다.구약에 보면 이스라엘 백성들은 죄를 회개하고 용서를 받기 위해 먼저 자기 죄를 하나님께 고백해야 했으며 이러한 죄의 고백을 통해 죄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고 이러한 죄 사함(赦罪)이 곧 구원의 전제조건이라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죄의 고백에는 하나님의 용서에 대한 믿음이 수반되었으며, 이스라엘 백성이 죄를 고백한다는 것은 곧 죄의 용서와 구원을 의미했습니다(사 38:17, 시 32:1∼7). 신약성서에 보면, 예수 그리스도께서 선포하신 하나님 나라의 복음은 회개의 요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회개하라. 하나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 여기서 회개란 마음의 깊은 변화와 동시에 실제 생활의 변화를 의미하는데 세례자 요한의 설교와 예수 그리스도의 설교는 이러한 회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막 1:4, 15). 더 나아가서 신약성서에서 회개는 성령 안에서의 새로운 생활과 그리스도의 부활하신 생명에 동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롬 5:21). 또한 초대 기독교 공동체는 성도가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와 연대해 살면서도 인간적 나약함으로 인해 죄와 악에 노출되어 살아야 하는 현실 속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끊임없이 악과 맞설 것과 회개를 통해 성결한 생활을 할 필요가 있음을 사도들은 역설했습니다(요일 1:5∼10).이러한 성서적 근거에 의해 가톨릭교회는 고해성사를 그리스도께서 친히 세우신 것이며, 죄를 용서하는 권한이 그리스도로부터 사도들을 거쳐 사제들에게 계승되었다고 해석합니다. 고해성사는 7세기경 켈트지역(아일랜드)에서부터 시작되어 점차 확산되었으며 1215년 라테란공의회에서 입법화되었다고 합니다. 고해성사는 죄로 인한 인간의 상처를 치유하고, 새로운 생명력을 회복하고, 하나님의 자녀로서 구원과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기존 교회의 일곱 가지 성례전 중 세례와 성찬, 두 가지만을 교회의 성례전으로 채택했습니다. 그렇게 결정한 배경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세례와 성찬만이 확실한 성서적 근거를 지니고 있다는 점 때문이었습니다. 즉 예수님이 친히 세례를 받으셨고, 또한 제자들에게 세례를 베풀라고 명령하셨습니다. 그리고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님이 친히 제자들에게 성찬을 베풀었고,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니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억하여라”(눅 22:19)고 당부하셨습니다. 이 확실한 성서적 근거에 의해 개신교에서는 세례와 성찬, 두 가지만을 교회의 성례전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
'그리스도의 향기 > 네티즌이 알기쉬운 기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하나님을 뜻하는 여러 이름의 유래 (0) | 2015.08.31 |
---|---|
12. 안실일과 주일은 어떻게 다른가? (0) | 2015.08.31 |
10. 예배와 미사 어떻게 다른가? (0) | 2015.08.31 |
9. 교회의 직제와 직분 (0) | 2015.08.31 |
8. 한국교회의 종교개혁 (0) | 2015.08.31 |